분류: 위키
목차
1. openNAMU의 스킨
1.1. 공식 스킨
1.1.1. openNAMU-buma
1.1.2. openNAMU-liberty
1.1.3. before_namu
1.1.4. ACME
1.1.5. marisa (neo_yousoro)
1.1.6. yousoro
1.1.7. SL_open(SL_lite)
1.1.8. Nitori
1.2. 비공식 스킨
1.2.1. Primavera
1.2.2. Material
1.2.3. Modern-Black
1.2.4. SimpleDirty
1.2.5. glossy
1.2.6. legacy
1.2.7. onamuLiberty
1.2.8. onamuBuma
1.2.9. onamuVector
1.2.10. royale
1.2.11. 디자이너를 괴롭히는 방법
1.2.12. Old_marisa
2. the seed의 스킨
2.1. 사용 가능한 스킨
2.1.1. senkawa
2.1.2. liberty
2.2. 사용 불가능 스킨
2.2.1. buma
2.2.2. vector
2.2.3. namuvector
3. 미디어위키의 스킨
3.1. Vector
3.2. MonoBook
3.3. Liberty
1. openNAMU의 스킨
1.1. 공식 스킨
1.1.1. openNAMU-buma
1.1.2. openNAMU-liberty
1.1.3. before_namu
1.1.4. ACME
1.1.5. marisa (neo_yousoro)
1.1.6. yousoro
1.1.7. SL_open(SL_lite)
1.1.8. Nitori
1.2. 비공식 스킨
1.2.1. Primavera
1.2.2. Material
1.2.3. Modern-Black
1.2.4. SimpleDirty
1.2.5. glossy
1.2.6. legacy
1.2.7. onamuLiberty
1.2.8. onamuBuma
1.2.9. onamuVector
1.2.10. royale
1.2.11. 디자이너를 괴롭히는 방법
1.2.12. Old_marisa
2. the seed의 스킨
2.1. 사용 가능한 스킨
2.1.1. senkawa
2.1.2. liberty
2.2. 사용 불가능 스킨
2.2.1. buma
2.2.2. vector
2.2.3. namuvector
3. 미디어위키의 스킨
3.1. Vector
3.2. MonoBook
3.3. Liberty
1. openNAMU의 스킨
1.1. 공식 스킨
1.1.1. openNAMU-buma
라이선스 |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
개발자 | LiteHell, 2du |
GitHub, 이슈 트래커 |
리버티 스킨과 포지션이 비슷한 것 같다고 하여 지원이 중단되었다.
1.1.2. openNAMU-liberty
라이선스 |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
개발자 | 2du |
GitHub 이슈 트래커 |
1.1.3. before_namu
라이선스 |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
소유자 | 2du |
GitHub, 이슈 트래커 |
1.1.4. ACME
1.1.5. marisa (neo_yousoro)

현재 모습

이전 모습
현재의 기본 스킨이다. 원래 푸른색이였으나 회색 계열로 바뀌었다. 그리고 언제부터인가 둥글둥글한 요소들이 각지게 바뀌었다.
1.1.6. yousoro

파일 기반 오픈나무 시절에 사용된 스킨. 그라데이션들이 있다. 원래는 단추들을 누를 때 누른 모양이 나타나는데 현재 오픈나무용 판은 이 효과가 없다.
1.1.7. SL_open(SL_lite)

CSS을 최대한 사용하지 않고 만들어진 라이트 스킨. Super Lite openNAMU의 약자이다. 공식 안내문에는 겁나 가볍고 휑한 스킨이라고 되어있다.
1.1.8. Nitori
1.2. 비공식 스킨
1.2.1. Primavera

라이선스 | 불분명 |
개발자 | BlueWhite |
1.2.2. Material

머티리얼 디자인 스킨이다. MDB 플러그인을 사용했으며, 바다위키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다. 원래는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있지 않았으나, 이후 바다위키 깃허브에 소스가 공개되었다. 공개된 소스는 오픈나무에 맞춰졌기에 일부 기능이 조금 다른 편이다.

2010년에 나온 크롬 6.0에서도 도구 모음 링크 부재, 사이드바 부재의 오류만 빼고는 레이아웃이 전혀 깨지지 않고 잘 나온다.
1.2.3. Modern-Black
부트스트랩 기반으로 만들어진 스킨. 이름처럼 모던하며 검정 테마이다. 평범하여 간단한 위키에 사용하기 좋다.
1.2.4. SimpleDirty
깃허브에는 심플하지만 더러운 스킨(??) 이라고 적혀 있다. MDL 플러그인을 사용해서 만든 머티리얼 스킨이다.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해 스킨 색상 등을 다양하게 지정할 수 있으며, 끌어서 놓기 방식 업로드 등 다양한 추가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1.2.5. glossy

아래의 legacy 스킨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빛나는 효과가 적용되어 있다. IE 7에서까지 정상 동작할 정도로 호환성이 좋다.
1.2.6. legacy

말 그대로 구 브라우저 호환용 스킨. 터보위키에서 사용하던 스킨을 오픈나무에 맞게 개조한 스킨이다. glossy가 이 스킨을 포크하여 만든 것이다. 이 스킨 역시 구버전의 IE에서 작동할 정도로 호환성이 좋다. 다만 이 역시 디자인은 옛날 사이트 느낌이 나며 의도적인 것으로 추정된다,
1.2.7. onamuLiberty
라이선스 |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
개발자 | 리브레 위키, 2du, CheongWol2, NewMocha, gdl-888 |
GitHub 이슈 트래커 |
1.2.8. onamuBuma
라이선스 |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
개발자 | LiteHell, 2du, CheongWol2, gdl-888 |
GitHub, 이슈 트래커 |
1.2.9. onamuVector
라이선스 |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
개발자 | LiteHell, BlueWhite, CheongWol2, gdl-888 |
GitHub, 이슈 트래커 |
2020년 7월 31일부로 바다위키에 추가되었다.
여담으로 이 스킨이 IE8에서 가장 잘 출력된다.
1.2.10. royale

터보위키에서 사용하던 스킨이였으며, Windows XP의 디자인과 비슷하다. 디자인이 조금 옛날 느낌이 난다. 다만 이는 예전 운영체제의 디자인을 기반으로 만든 것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 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WMP10에서 영향을 받았다.
개발 당시에도 그렇고 휴대폰을 잘 사용하지 않아서 모바일에서의 사용이 고려되지 않아서 모바일에서 들어가면 글씨가 작게 나온다.
1.2.11. 디자이너를 괴롭히는 방법
라이선스 | 미정 |
개발자 | BlueWhite |
1.2.12. Old_marisa
2. the seed의 스킨
2.1. 사용 가능한 스킨
2.1.1. senkawa

[2]
나무위키 라이센스에 따르면 theseed.io에서 유지보수를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스킨을 제외한 다른 스킨들은 나무위키 게시판으로 가는 링크가 없다. 이름은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의 어시스턴트 캐릭터 센카와 치히로에서 따왔다.
또한 2017년 senkawa-xmas 라는 스킨이 있었는데, 크리스마스 한정으로 적용되었다. 나무위키 상단이 빨간색으로 변하고, 화면 전체적으로 눈이 내리는 모습이 보이는 스킨으로 센카와 스킨의 포크 스킨이다. 표에도 눈이 내리는 효과가 있다. 2019년 12월 초에 베타 나무위키에서 적용할 수 있었다.
2016년에는 문서 메뉴의 모서리가 둥글었지만 이후 각지게 바뀌었다.
2019년 9월 말에 아이콘들이 가늘게 바뀌었다. 사람에 따라서는 심플(?)해져서 선호하는 사람도 있고 얇아져서 눈에 띄지 않을 수도 있다.
2.1.2. liberty

2019년 말부터 사용되는 senkawa의 일부 디자인이 섞인 디자인의 리버티 스킨.

2019년 말 이전의 원본 스킨.
[A][B]
라이선스 |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
소유자 | namu(namuwiki) |
GitHub |
업데이트 전에는 분류 상자의 입체 효과, 둥근 단추, 부트스트랩을 이용하여 입력 상자에 네온, 흔들리는 레스 등의 멋진 효과가 많이 있었지만 신버전은 senkawa 스킨과 디자인이 통합되면서 사라졌다. 다만 의도적인 것보다는 클래스명이 변경되었는데 이 스킨에 반영이 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5]
크롬 40~50대 버전에서 사용해보면 기본 글꼴이 번져있다.
2020년 7월 기준 2010년에 나온 버전인 구글 크롬 6.0(!)에서 접속해도 깨지는 부분 없이 정상적으로 출력된다.
2.2. 사용 불가능 스킨
2.2.1. buma

(A)(B)
라이선스 |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
소유자 | LiteHell |
GitHub, 이슈트레커 |
프론트엔드 변경 이후 업데이트가 되지 않은 알파위키와 더시드위키에서만 사용이 가능했으나, 2020년 3월 1일 업데이트로 더이상 사용이 불가능해졌었다.
2020년 8월 15일부터 알파위키 한정으로 다시 추가되었다. 다만 기본 스킨은 아니며 나무위키에는 아직 반영되지 않았다.
2.2.2. vector
라이선스 |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
소유자 | LiteHell |
GitHub, 이슈트레커 |
문서함 기능도 미구현이었다가 10월 4일 업데이트 이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더시드위키에 사용했던 것을 고치지 않고 적용해서 그런 지 한동안 검색창에 '더시드위키 검색'이라고 떴었다. 10월 4일 업데이트로 이제는 '나무위키 검색'이라고 뜬다.
업데이트 이후 알파위키와 더시드위키에서만 사용이 가능했으나, 2020년 3월 1일로 더이상 사용이 불가능해졌다.
2.2.3. namuvector

[7]
소유자 | LiteHell |
라이선스 | GPL 제 2판 |
GitHub |
위의 vector와는 다르다. 인터페이스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배경색이 녹색이다. 지원되지 않는다(Deprecated).
3. 미디어위키의 스킨
3.1. Vector
미디어위키의 기본 스킨이다. 다른 엔진에 맞춰 개조한 버전도 존재한다.
3.2. MonoBook
미디어위키 엔진에 있는 스킨이다. 검색창이 좌측에 있다.
3.3. Liberty
리브레 위키의 기본 스킨이다. 다른 엔진에 맞춰 개조된 버전도 존재하며, 현재 대한민국의 대부분의 위키가 이 스킨을 사용 중이다.
[1] 오픈나무 레거시 개발자이고 이 시기에 이 스킨이 사용되었다.[2] 스킨 및 로고 라이선스(아카이브로 대체): https://web.archive.org/web/20190314105558/https://namu.wiki/License [A] the seed와는 다른 엔진이나 호환성이 있고 the seed용 원본 스킨을 그대로 사용했으므로 첨부.[3.1] [B] 바다위키 로고가 찍혔는데 해당 부분 저작권자는 제작자 BlueWhite이다.[4.1] [5] 여담이지만 타이젬바둑 역시 구버전은 쪽지 스킨이 버튼 디자인까지 바꿨지만 2013년쯤부터 사용된 신버전은 배경 디자인만 바꿀 수 있게 된 것과 비슷하다[6] 당연하지만 이전에는 적용시키면 invalid_skin 오류가 떴다.[7] 해당 스킨은 the seed 기반 위키 중 어느 위키에서도 기본 스킨으로 사용된 적이 없어서 웨이백 머신의 사용이 불가하며 the seed 엔진은 공개되지 않았기에 the seed 스킨 호환 엔진으로 적용하였다.
[틀:문서 가져옴/문단]최근 변경
최근 토론